[오늘의 사자성어]
오늘은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두 가지 상황을 표현하는 사자성어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십중팔구와 어불성설입니다.
십중팔구는 어떤 일이 예상대로 흘러갈 가능성을 강조하는 반면, 어불성설은 말이나 주장에 타당성이 없을 때 쓰입니다. 일상에서도 십중팔구 예측할 수 있는 상황을 잘 파악하는 통찰력과, 어불성설인 말을 분별하는 비판적 사고를 함께 기르는 것이 중요하겠죠.
지금부터 이 두 사자성어의 의미와 유래, 그리고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십중팔구

(1) 한자와 뜻
- 십(十) : 열
- 중(中) : 가운데
- 팔(八) : 여덟
- 구(九) : 아홉
☞ 열 중에 여덟이나 아홉 정도로 거의 대부분이거나 틀림없음
열 개 중 여덟이나 아홉 개가 그렇게 된다는 뜻으로, 거의 확실한 상황을 의미합니다.
(2) 의미와 유래
- 의미
십중팔구는 대부분의 경우 특정한 결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뜻입니다. 즉, 열 번 중 여덟이나 아홉 번은 같은 결과가 나오므로 확률적으로 거의 확실하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유래
이 표현은 중국 고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중국 송나라 때 문헌이나 조선 시대의 기록에서도 이와 비슷한 개념이 등장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건이 발생하면 그에 따른 결과가 대부분 예측 가능한 경우가 많다는 점을 강조하는 맥락에서 사용되었습니다. 현대에도 일상적으로 많이 쓰이며, 특히 확률적으로 높은 가능성을 강조할 때 활용됩니다.
(3) 일상 속 사용 예문 5가지
- 그 계획은 준비가 철저해서 십중팔구 성공할 것이다.
- 날씨를 보니 십중팔구 내일은 비가 올 것 같다.
- 그는 워낙 성실한 사람이니 십중팔구 약속을 지킬 것이다.
- 시험을 잘 본 친구는 십중팔구 좋은 성적을 받을 것이다.
- 교통 체증이 심한 시간대라 십중팔구 늦을 가능성이 높다.
(4) 십중팔구과 비슷한 사자성어 3가지
- 백발백중(百發百中)
백 번 쏘면 백 번 다 맞힌다는 뜻으로, 항상 명중하거나 성공함을 의미합니다.
- 명약관화(明若觀火)
불을 보는 것처럼 분명하고 확실하다는 뜻입니다. - 명불허전(名不虛傳)
‘이름이 헛되이 전해지는 법이 없다’는 뜻으로, 명성이 사실과 일치할 정도로 뛰어나다는 의미입니다.
(5) 십중팔구에 담긴 교훈
십중팔구, 확률을 알면 미래를 준비할 수 있다
우리는 일상에서 여러 가지 선택을 하며 살아갑니다. 어떤 일의 결과가 거의 확실할 때 십중팔구라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이는 단순한 확률을 넘어 중요한 교훈을 줍니다. 즉, 과거의 경험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십중팔구라는 말을 통해 우리는 단순히 운에 맡기기보다는, 충분한 준비와 분석을 통해 보다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십중팔구의 가능성을 고려하며 합리적인 판단을 내린다면 더욱 성공적인 삶을 살 수 있을 것입니다.
(6) 십중팔구 영어표현
Nine times out of ten
열 번 중 아홉 번
☞ 가장 직역에 가까운 표현으로, 확률적으로 거의 항상 발생하는 일을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 예문
Nine times out of ten, he arrives late to meetings.
십중팔구 그는 회의에 늦게 온다.
2. 어불성설

(1) 한자와 뜻
- 어(語) : 말씀
- 불(不) : 아닐
- 성(成) : 이룰
- 설(說) : 말씀
☞ 말이 이치에 맞지 않음
말이 이치에 맞지 않아 논리적으로 성립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2) 의미와 유래
- 의미
어불성설은 어떤 말이나 주장이 논리적으로 맞지 않거나 앞뒤가 맞지 않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상대방의 논리가 빈약하거나 터무니없는 주장을 펼칠 때 이를 비판하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 유래
이 표현은 중국 고전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며, 주로 논리적이지 않은 말이나 억지 주장을 비판할 때 사용되었습니다. 동양 철학에서 논리와 이치를 중시하는 사상이 강했기 때문에, 올바른 논리 없이 주장만 앞세우는 것은 가치가 없다는 의미를 강조하는 데 활용되었습니다. 조선 시대에도 학자들이 논리적 사고를 강조하며 어불성설이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했습니다.
(3) 일상 속 사용 예문 5가지
- 그의 변명은 어불성설이라서 아무도 믿지 않았다.
- 친구가 한 주장은 사실과 다르며, 어불성설에 불과했다.
- 그렇게 적은 예산으로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는 건 어불성설이다.
- 상사의 말은 앞뒤가 맞지 않아서 어불성설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 증거도 없이 남을 비난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4) 어불성설과 비슷한 사자성어 3가지
- 자가당착(自家撞着)
스스로의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맞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 유구무언(有口無言)
입은 있지만 할 말이 없다는 뜻으로, 논리가 부족하여 변명할 수 없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 자기모순(自己矛盾)
‘자기 말과 행동이 서로 모순된다’는 뜻으로, 논리가 맞지 않고 앞뒤가 다른 경우를 나타냅니다.
(5) 어불성설에 담긴 교훈
어불성설, 논리적 사고가 세상을 바꾼다
논리적인 말과 행동은 인간관계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어불성설이라는 표현은 단순히 말이 맞지 않는다는 의미를 넘어서, 우리가 합리적 사고를 바탕으로 대화하고 행동해야 한다는 교훈을 줍니다.
논리적으로 타당한 주장과 근거가 있을 때, 상대방은 우리의 의견을 더 신뢰하고 받아들일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감정적으로 말하기보다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논리를 갖춘 주장을 펼칠 필요가 있습니다.
논리적인 사고와 합리적인 주장은 사회를 더욱 발전시키고 원활한 소통을 가능하게 합니다. 어불성설이 되지 않도록, 올바른 정보와 타당한 근거를 바탕으로 의견을 제시하는 습관을 길러보세요!
(6) 어불성설 영어표현
Doesn’t make sense
말이 안 된다, 앞뒤가 맞지 않는다
- 예문
What you’re saying doesn’t make sense.
네가 말하는 건 어불성설이야.
▼ 서당엔 영상으로 한 번 더 복습해 볼까요?